81. 풍력터빈의 피뢰설비 시설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풍력터빈에 설치한 피뢰설비(리셉터, 인하도선 등)의 기능저하로 인해 다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 풍력터빈 내부의 계측 센서용 케이블은 금속관 또는 차폐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뇌유도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것
- 풍력터빈에 설치하는 인하도선은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충분한 굵기여야 하며, 가능한 직선으로 시설할 것
- 수뢰부를 풍력터빈 중앙부분에 배치하되 뇌격전류에 의한 발열에 용손(溶損)되지 않도록 재질,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을 고려할 것
정답: 4
KEC 532. 3. 5 피뢰설비풍력터빈의 피뢰설비는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 수뢰부를 풍력터빈 선단부분 및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하되 뇌격전류에 의한 발열에 용손(溶損) 되지 않도록 재질,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을 고려할 것
- 풍력터빈에 설치하는 인하도선은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충분한 굵기여야 하며, 가능한 직선으로 시설할 것
- 풍력터빈에 설치하는 인하도선은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충분한 굵기여야 하며, 가능한 직선으로 시설할 것
- 풍력터빈에 설치한 피뢰설비(리셉터, 인하도선 등)의 기능저하로 인해 다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82.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할 경우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몇 mA 이하인가?
- 5
- 10
- 15
- 30
정답: 3
KEC 234. 5 콘센트의 시설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콘센트(욕조,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또는 절연변압기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하거나,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
-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15[mA]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
- 절연변압기: 정격용량 3[kVA] 이하인 것
- 콘센트는 접지극이 있는 방적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
83. 강관으로 구성된 철탑의 갑종 풍압하중은 수직 투영면적 1[㎡]에 대한 풍압을 기초로 하여 계산한 값이 몇 [Pa] 인가? (단, 단주는 제외한다.)
- 1255
- 1412
- 1627
- 2157
정답: 1
KEC 331.6 풍압하중의 종별과 적용
철탑 | 단주(완철류는 제외) | 원형의 것 | 588[Pa] |
기타의 것 | 1117[Pa] | ||
강관으로 구성되는 것(단주는 제외함) | 1255[Pa] | ||
기타의 것 | 2157[Pa] |
8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에서 감전에 대한 보호 등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도체를 말하는 것은?
- 접지도체
- 보호도체
- 수평도체
- 접지극도체
정답: 2
KEC 112 용어정의
"보호도체(PE, Protectiv Conductor)"이란 감전에 대한 보호 등과 같이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등전위본딩을 말한다.
85. 통신상의 유도 장해방지 시설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교류식 전기철도용 전차선로는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에 대하여 ( )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
- 정전작용
- 유도작용
- 가열작용
- 산화작용
정답: 2
KEC 461. 7 통신상의 유도 장해방지 시설
교류식 전기철도용 전차선로는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에 대하여 유도작용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86. 주택의 전기저장장치의 축전지에 접속하는 부하 측 옥내배선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케이블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고 전선에 적당한 방호장치를 시설한 경우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직류 몇 [V] 까지 적용할 수 있는가? (단,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한 경우이다.)
- 150
- 300
- 400
- 600
정답: 4
KEC 511. 3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
주택의 전기저장장치의 축전지에 접속하는 부하 측 옥내배선을 다음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에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직류 600[V]까지 적용할 수 있다.
-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은폐된 장소에 합성수지관배선, 금속관배선 및 케이블 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거나,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케이블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고 전선에 적당한 방호장치를 시설할 것
87. 전압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직류에서의 저압은 1000V 이하의 전압을 말한다.
- 교류에서의 저압은 1500V 이하의 전압을 말한다.
- 직류에서의 고압은 3500V를 초과하고 7000V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 특고압은 7000V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정답: 4
KEC 111. 1 적용범위
구분 | 교류 | 직류 |
저압 | 1[kV] 이하 | 1.5[kV] 이하 |
고압 | 저압 초과 7[kV] 이하 | |
특고압 | 7[kV] 초과 |
88.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으로 나경동선을 사용할 때의 최소 굵기는 지름 몇 [mm] 이상인가?
- 3.2
- 3.5
- 4.0
- 5.0
정답: 3
KEC 332. 6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
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은 인장간도 5.26[kV]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mm] 이상의 나경동선을 사용한다.
89. 특고압용 변압기의 내부에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 자동차단장치 또는 경보장치를 하여야 하는 최소 뱅크용량은 몇 [kVA] 인가?
- 1000
- 3000
- 5000
- 10000
정답: 3
KEC 351. 4 특고압용 변압기의 보호장치
뱅크용량의 구분 | 동작조건 | 장치의 종류 |
5000[kVA] 이상 10,000[kVA] 미만 | 변압기 내부고장 | 자동차단장치 경보장치 |
10,000[kVA] 이상 | 변압기 내부고장 | 자동차단장치 |
타냉식 변압기 |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 변압기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 경우 |
경보장치 |
90.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할 것
-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할 것
- 접착제를 사용하여 관 상호 간을 삽입하는 깊이는 관의 바깥지름의 0.8배 이상으로 할 것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관 상호 간을 삽입하는 깊이는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이상으로 할 것
정답: 2
KEC 232. 10 합성수지관 공사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
- 관 상호 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 관의 지지점 간 거리는 1.5[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장치를 할 것.
- 콤바인 덕트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거나 옥내 전개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불연성 마감재 내부, 전용의 불연성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설할 것.
- 합성수지제 휠(가요) 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하지 말 것.
91. 사용전압이 22.9[kV]인 가공전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 전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인가?
- 5
- 5.5
- 6
- 6.5
정답: 4
KEC 3337. 특고압 가공전선의 높이(KEC 222. 7, 332. 5)
구분 | (1) 도로횡단 | (2) 철도궤도 횡단 | (3) 횡단보도교 위 | (1), (2), (3) 이외 |
저압 | 6[m] | 6.5[m] | 3.5[m] #1. (3[m]) | 5[m] #2. (4[m]) |
고압 | 3.5[m] | 5[m] | ||
35[kW] 이하 | 5[m] #2. (4[m]) | 5[m] | ||
35[kW] 초과 160[kW] 이하 |
6[m] #4. (5[m]) | 6[m] | ||
산지 등에서 사람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경우 5[m] | ||||
160[kW] 초과 | 도로횡단, 횡단보도교, 일반장소: 6[m] + (단수 × 0.12)[m] 철도궤도 횡단: 6.5[m] + (단수 × 0.12)[m] 산지: 5[m] + (단수 × 0.12)[m] |
92.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그 높이는 레일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3
- 3.5
- 5
- 6.5
정답: 4
KEC 362. 2 전력보안 가공통신선의 높이
시설장소 | 가공 통신선[m]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 또는 이에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 |
||
고, 저압 [m] | 특고압 [m] | |||
도로(차도)위 | 일반적인 경우 | 5 | 6 | 6 |
교통에 지장을 안주는 경우 | 4.5 | 5 | ||
철도 횡단(레일면상) | 6.5 | 6.5 | 6.5 | |
횡단 보도교 위(노면상) | 3 | 3.5 | 5 | |
횡단 보도교 위 (저고압의 통신선이 절연전선과 동등 이상의절연성능이 있는 경우, 특고압에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 |
3 | 4 | ||
기타의 장소 (도로, 철도, 횡단보도교 이외 장소) |
3.5 | 4 | 5 |
93. 전력보안통신설비의 조가선은 단면적 몇 [㎟]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16
- 38
- 50
- 55
정답: 2
KEC 362. 3 조가선 시설기준
전력보안통신설비의 조가선은 단면적 38[㎟]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할 것.
94.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의 시설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단면적 ( )[㎟] 이상의 나연동선을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1종 금속제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하다. |
- 0.75
- 1.5
- 2.5
- 4
정답: 3
KEC 234. 11. 4 관등회로의 배선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공칭단면적 2.5[㎟]의 나연동선을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하다.
95. 사용전압이 154[kV]인 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로 시설할 경우, 여기에 사용되는 경동연선의 단면적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100
- 125
- 150
- 200
정답: 3
96. 사용전압이 400[V] 이하인 저압 옥측전선로를 애자공사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비나 이슬에 젖지 않는 장소에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이다.)
- 0.025
- 0.045
- 0.06
- 0.12
정답: 3
KEC 232. 56 애자공사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0.06[m] 이상일 것.
97. 지중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통신상의 장해를 주지 않도록 기설약전류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이때 통신상의 장해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은?
- 충전전류 또는 표피작용
- 충전전류 또는 유도작용
- 누설전류 또는 표피작용
-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
정답: 4
KEC 334. 5 지중약전류전선의 유도장해 방지
지중 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에 의하여 통신선의 장해를 주지 않도록 기설 약전류전선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해야 한다.
98. 최대 사용전압이 10.5[kV]를 초과하는 교류의 회전기 절연내력을 시험하고자 한다. 이때 시험전압은 최대사용전압의 몇 배의 전압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회전변류기는 제외한다.)
- 1
- 1.1
- 1.25
- 1.5
정답: 3
KEC 133 회전기 및 정류기의 절연내력
종류 | 시험전압 | 시험방법 | ||
회 전 기 |
발전기 전동기 조상기 기타 회전기 |
7[kV] 이하 | 1.5배 (최저 500[V]) | 권선과 대지사이 연속하여 10분 |
7[kV] 초과 | 1.25배 (최저 10.5[kV] | |||
회전변류기 | 직류측 최대사용전압의 1배 교류 (최저 500[V]) |
99.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의 공사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사용전압이 400[V] 초과인 방전등을 제외한 경우이다.)
- 금속관 공사
- 애자사용 공사
- 합성수지관 공사
-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정답: 1
KEC 242. 2 분진 위험장소
- 폭연성 분진
-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탄, 지르코늄 등의 먼지가 쌓여있는 상태에서 불이 붙었을 때에 폭발할 우려가 있는 것.
- 저압 옥내배선은 금속관공사 또는 케이블공사(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에 의할 것.
100.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범용의 퓨즈(「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정격전류가 16[A]인 경우 용단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 (단, 퓨즈(gG)인 경우이다.)
- 1.25
- 1.5
- 1.6
- 1.9
정답: 3
저압전로 중의 과전류차단기의 시설
- 퓨즈
정격전류의 구분 | 시간 | 정격전류의 배수 | |
불용단전류 | 용단전류 | ||
4[A] 이하 4[A] 초과 16[A] 미만 16[A] 이상 63[A]이하 63[A]초과160[A]이하 160[A] 초과 400[A] 이하 400[A] 초과 |
60분 60분 60분 120분 180분 240분 |
1.5배 1.5배 1.25배 1.25배 1.25배 1.25배 |
2.1배 1.9배 1.6배 1.6배 1.6배 1.6배 |
'기사, 산업기사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2022. 04. 2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80번) (5) | 2022.06.22 |
---|---|
(전기기사) 2022. 04. 24 전기기기 (41~60번) (3) | 2022.06.21 |
(전기기사) 2022. 04. 24 전력공학 (21~40번) (4) | 2022.06.20 |
(전기기사) 2022. 04. 24 전자기학 (01~20번) (3)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