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

(9급 지방직) 2020. 06. 13 전기기기

1. 동기전동기의 위상특성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역률 1에서 전기자전류는 최소가 된다. 전기자전류가 일정할 때 부하와 계자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곡선이다. 계자전류가 증가하여 동기전동기가 과여자 상태로 운전되면 전기자전류는 진상전류가 된다. 계자전류가 감소하여 동기전동기가 부족여자 상태로 운전되면 전기자전류는 지상전류가 된다. 정답: 2 2. 동기전동기에 설치된 제동권선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역률을 개선한다. 난조를 방지한다. 효율을 좋게 한다. 슬립을 1로 한다. 정답: 2 제동권선(damping winding) 자극면에서 유도전동기의 농형권선과 같은 권선을 설치하고, 자극에 슬립이 생겼을 때에 전기자의 회전자계에 의하여 슬립 주파수의 전류가 이 권선 안에 흘러서 난조를 방..

(9급 지방직) 2020. 06. 13 전기이론

1. 그림의 자기 히스테리시스 곡선에서 가로축(X)과 세로축(Y)에 해당하는 것은? (순서대로 X, Y) 자속밀도, 투자율 자속밀도, 자기장의 세기 자기장의 세기, 투자율 자기장의 세기, 자속밀도 정답: 4 히스테리시스 B - H 곡선 B: 자속밀도 H: 자계의 세기 2. 그림의 회로에서 전류 I1[A]은? -1 1 -3 3 정답: 3 KCL 적용 $1+2=I_{1}\cdots $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therefore I_{1} =3[A]$ 3. 그림의 회로에서 공진주파수[Hz]는? $\frac{1}{\sqrt{LC}}$ $\frac{1}{LC}$ $\frac{1}{2\pi LC}$ $\frac{1}{2\pi \sqrt{LC}}$ 정답: 4 공진 주파수 $f_{0}=\frac{1}{2\pi \s..

(9급 국가직)2021. 04. 17 전기기기

1. 직권 직류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속이 포화되기 전까지 토크는 전기자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크레인용 전동기와 같이 매우 큰 토크가 필요한 곳에 적합하다. 무부하 상태로 연결하여 동작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토크가 커질수록 높은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 4 직류 직권전동기 $T=k\phi I_{a}=kI_{a}^{2}$ 이므로 토크는 전기자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N=k\frac{V-I_{a}(R_{a}+R_{s})}{\phi }$ 에서 무부하시 $I=I_{a}=I_{s}=0$ 가 되어 $\phi $가 0이 되므로 위험하다. $T\propto \frac{1}{V^{2}}$ 2. V-V 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용량 3상 부하에 ..

(전기기사) 2022. 04. 24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100번)

81. 풍력터빈의 피뢰설비 시설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풍력터빈에 설치한 피뢰설비(리셉터, 인하도선 등)의 기능저하로 인해 다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풍력터빈 내부의 계측 센서용 케이블은 금속관 또는 차폐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뇌유도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것 풍력터빈에 설치하는 인하도선은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충분한 굵기여야 하며, 가능한 직선으로 시설할 것 수뢰부를 풍력터빈 중앙부분에 배치하되 뇌격전류에 의한 발열에 용손(溶損)되지 않도록 재질,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을 고려할 것 정답: 4 KEC 532. 3. 5 피뢰설비풍력터빈의 피뢰설비는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수뢰부를 풍력터빈 선단부분 및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하되 뇌격전류에 의..

(전기기사) 2022. 04. 2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80번)

61. 다음 블록선도의 전달함수 $(\frac{C(s)}{R(s)})$ 는? 10/9 10/13 12/9 12/13 정답: 2 $\frac{C(s)}{R(s)}=\frac{\sum G(1-loop)}{1-\sum L_{1}+\sum L_{2}-\sum L_{3}}\cdots \sum L_{1}=-2-6-4$ ※ loop: 각각 순방향 경로의 이득에 접촉하지 않는 루프 $\therefore \frac{C(s)}{R(s)}=\frac{6+4}{1-(-2-6-4)}=\frac{10}{13}$ 62. 전달함수가 $G(s)=\frac{1}{0.1s(0.01s+1)}$ 과 같은 제어시스템에서 ω = 0.1 [rad/s] 일 때의 이득[dB]과 위상각[°]은 약 얼마인가? 40[dB], -90[°] -40[dB], ..

(전기기사) 2022. 04. 24 전기기기 (41~60번)

41. 단상 변압기의 무부하 상태에서 $V_{1}$ = 200sin(ωt+30°)[V] 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I_{o}$= 3sin(ωt+60°) + 0.7sin(3ωt+180°)[A] 의 전류가 흘렀다. 이때 무부하손은 약 몇 [W] 인가? 150 259.8 415.2 512 정답: 2 전압에 제 3고조파가 없기 때문에 제 3고조파 전류인 0.7sin(3ωt+180°)는 고려하지 않는다. $\therefore P_{0}=V_{1}I_{1}cos\Theta =\frac{200}{\sqrt{2}}\times \frac{3}{\sqrt{2}}\times cos30^{\circ}=259.8[W]$ 42.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전기자 권선과 계자 권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계자 권선의 권수를 ..

(전기기사) 2022. 04. 24 전력공학 (21~40번)

21.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전압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직류전압의 크기 충격파의 평균치 충격파의 최대치 충격파의 실효치 정답: 3 22. 전력용 콘덴서에 비해 동기조상기의 이점으로 옳은 것은? 소음이 적다. 진상전류 이외에 지상전류를 취할 수 있다. 전력손실이 적다. 유지보수가 쉽다. 정답: 2 동기조상기 전력용 콘덴서 분로리액터 전력손실 많음(1.5~2.5[%]) 적음(0.3[%]이하) 적음(0.6[%]이하) 가격 고가 저렴 저렴 무효전력 진상, 지상 양용 진상 지상 조정 연속적 계단적 계단적 사고시 전압유지 큼 작음 작음 시송전 가능 불가 불가 보수 손질필요 용이 용이 23. 단락 보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방사상 선로의 단락 보호방식에서 전원이 양단에 있을 경우 방향 단락 계전기와 과전..

(전기기사) 2022. 04. 24 전자기학 (01~20번)

1. $\varepsilon_{r}=81$, $\mu _{r}=1$ 인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는 약 몇 [Ω] 인가? (단, $\varepsilon_{r}$은 비유전율이고, $\mu _{r}$은 비투자율이다.) 13.9 21.9 33.9 41.9 정답: 4 고유임피던스(특성임피던스) $Z_{0}=\sqrt{\frac{\mu }\epsilon}=\sqrt{\frac{\mu _{0}\mu _{r}}{\epsilon _{0}\epsilon _{r}}}=377\times \frac{1}{9}=41.9[\Omega ]$ 2. 강자성체의 B - H 곡선을 자세히 관찰하면 매끈한 곡선이 아니라 자속밀도가 어느 순간 급격히 계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퀴리점(Curi..

(9급 국가직) 2021. 04. 17 전기이론 (11~20번)

11. 인덕턴스 L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압과 전류의 비례상수이다. 자속과 전류의 비례상수이다. 자속과 전압의 비례상수이다. 전력과 자속의 비례상수이다. 정답: 2 $N\phi =LI$ 이므로 자속과 전류의 비례상수 이다. 12. R - L 직렬회로에 200[V], 60[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전류가 10[A]이고 역률이 0.8이었다. R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L만을 조정하여 역률이 0.4가 되었을 때, 회로의 전류[A]는? 5 7.5 10 12 정답: 1 $cos\Theta =\frac{R}{Z}$ 이므로 저항이 일정한 상태에서 역률이 절반이 되려면 임피던스가 두배가 되어야 한다. 이때, $I=\frac{V}{Z}$ 이므로 전류는 5[A]가 된다. 13. 그림의 회로에서 저항..

(9급 국가직) 2021. 04. 17 전기이론 (1~10번)

1. 전류원과 전압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을 모두 고르면? ㄱ. 이상적인 전류원의 내부저항 r=1[Ω]이다. ㄴ. 이상적인 전압원의 내부저항 r=0[Ω]이다. ㄷ. 실제적인 전류원의 내부저항은 전원과 직렬 접속으로 변환할 수 있다. ㄹ. 실제적인 전압원의 내부저항은 전원과 직렬 접속으로 변환할 수 있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3 2. 그림의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로의 마디(node)는 4개다. 2. 회로의 루프(loop)는 3개다. 3.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KVL)에 의해 $V_{1}-V_{R1}-V_{R3}-V_{2}=0$ 이다. 4.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KCL)에 의해 $I_{R1}+I_{R2}+I_{R3}=0$ 이..